1. 알고리즘, 파이썬으로 링크드 리스트 구현

Linked List, with python3






Linked List는 노드(Node)들의 연결로 이루어진 자료구조입니다.


노드는 아래 그림과같이 DATA와 다른 노드의 주소값을 가리키는 포인터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노드들이 아래와 같이 연결된 것이 가장 기본적인 링크드 리스트의 모습입니다.




C언어의 배열과 비교했을때 이 Linked List의 장점은 무엇일까?


일단 가장 큰 장점은 배열처럼 처음에 배열의 크기를 한정시킬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또한 내용의 일부를 삭제하는 경우에도 배열과 다르게 링크의 중간을 짤라 붙여주기만하면 되기 때문에 손쉽게 할 수 있죠.


말은 여기까지하고 이제 코드로 살펴보겠습니다.


원래 C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파이썬 코드로 변환시킨것입니다. 파이썬에서 이런걸 왜 쓰는거냐고 생각하지 마시고, C언어 입장에서 봐주세용~



앗... 조금 문제가 있어서 코드는 아래 깃허브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


https://github.com/yekyu94/Algorithm/blob/master/Linked%20List.ipynb(깃허브)

시작하기전에 한마디 하겠습니다!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https://yekyu94.tistory.com/23



각종 데이터들을 통계와 같은 방식을 통해 분석하는 데이터 사이언스(앞으로 줄여서 데사)에게는 이 "Python"이라는 언어가 필수적입니다.



왜냐고요? 빅데이터라는 녀석은 엑셀로 짠! 하고 볼 수 있는 수준이 아니거든요...


아쉽게도 이 녀석은 한번에는 표시할 수 없는 어마어마한 양을 갖고있어서 파이썬이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서 똑똑하게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할 것입니다.





"~~~으~~~ 프로그래밍이라니... 그런건 방구석 개발자들이나 하는거 아니야...?" 라고 하신다면, 맞습니다! ㅎㅎ


이제부터 우리는 갑갑한 연구실같은 곳에서 페인처럼 생활하는... 숫자하나에 밤을 새우는... 그런 녀석이 될 예정입니다. 




이 이야기를 시작하기 전에 말씀드리는 이유~아셨나요?



앞으로 다가올 녀석들은 신세계가 될 수 있으니, 도망갈 수 있을때 도망가...








>> 추가정보

 - 이모티콘 출처 : http://jlblog.me

 - 모든 소스코드들은 github에 올라와있습니다.



데이터 사이언스?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약팔러 왔습니당~

데이터면 데이터지, 사이언스는 뭐고, 사이언티스트는 뭘까?

"Data Scientist", 데이터 과학자라는 이 말은 빅데이터라는 것이 화두가 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Big Data"와 "인공지능"이라는 개념은 앞으로 다가올 미래를 가장 많이 바꿔줄 수 있는 기술(혹은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업들은 생각했습니다. 

"인공지능을 위해서는 빅데이터는 필수적이래, 일단 인공지능이라는 것을 위해서 일단 데이터들을 모아보자!"

그렇게 차곡차곡 기업의 데이터베이스에 쌓인 어마어마한 데이터... 

하루하루 지날때 마다 쌓여가는 데이터는 어마어마하게 늘어났고, 사용하지도 않는데, 데이터베이스 관리비용만 점점 늘어나는 상황이었죠.




네, 맞습니다. 기업들은 돈을 내면서 쓰레기를 모으고 있는 중이었죠.

물론 모든 데이터가 쓰레기는 아닙니다. 사용하기에 따라서는 기업의 가치를 수직상승시킬 보물들이 섞여있죠.

이쯤이면 감이 오실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이러한 '빅'데이터로부터 기업에 필요한 정보를 찾아내고, 분석하고, 가공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직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직도 무슨말인지 모르겠다고요? 아마존 같은 거대한 쇼핑사이트를 예를들어보죠.

이들은 쌓여있는 방대한 데이터로부터 방문자의 구매패턴, 최근 트렌드들을 분석하여 이를통해 방문자가 사이트에 접속했을때, 사용자 개인에게 맞는 특별한 상품들을 추천해줄 수 있습니다.

또는 여러분의 계정이 해킹당하여 등록된 카드로 무분별한 쇼핑이 이루어졌을 때, 이 사이트는 사용자의 이상적인 구매패턴으로부터 해킹여부를 추측하고, 사용자에게 계정 인증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가 해당 기업에대한 신뢰도와 재방문율을 올려주게되고, 결과적으로 영업이익의 상승을 갖고와 줄 것입니다.




아래사진과 같이 "Glassdoor"(2018년도)에 따르면, 미국 최고의 직업 1순위에 당당하게 "Data Scientist"가 올라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2020년 일본에서 없어서 못구하는 직업으로 손꼽히는 직업 "Data Scientist"!!!


한번 이제부터 차근차근 함께 공부해 보겠습니다.









이정도 약팔았으면 좀 관심 생겼겠지...?

관심이 생겼으면 다음 카테고리 Python으로 Go~